최종편집 : 2023-12-11 17:16 (월)
디지털 헬스케어 허브 조성으로 글로벌 생명경제 기반 구축한다
상태바
디지털 헬스케어 허브 조성으로 글로벌 생명경제 기반 구축한다
  • 홍민희 기자
  • 승인 2023.09.26 1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만의 특화된 바이오 소재와 의료기기, 고부가가치 식품 등 지역의 기술 경쟁력을 활용해 '의생명산업 거점화'를 이룰 수 있는 토대가 될 특례들도 이번 개정안에 담겼다.

제29조와 제34조, 제35조는 지역특화형 라이프 및 디지털 헬스케어·동물용의약품·바이오융복합산업을 육성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현재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입지 선정 권한을 보유하고 있지만, '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의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전북도와 협의해 보건복지부장관은 전북자치도 내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입지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특례를 제29조 1항에 담았다.

또한, 연구중심병원 10개소 중 대부분이 수도권 소재 병원들로 지정돼 있는 만큼, 비수도권인 전북자치도 내에서도 지정할 수 있도록 특별법에 포함시켜 지역병원의 연구 역할을 강화하고자 했다(제29조 제2항).

전북자치도 내 공공기관을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로 추가 지정해 지역의 의료기기 산업육성을 지원하는 특례도 제29조 3항에 포함시켰다.

이와 함께 데이터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세계 시장 규모가 크게 증가하면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공공데이터 개방과 규제 해소, 시범사업의 실증이 필요함에 따라 특례를 통해 시범적 헬스케어 특화지구를 도입하는 조항을 제29조 4항부터 7항까지 담았다.

제33조엔 반려동물 양육가구의 증가로 동물용의약품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음에도 신약 개발 시 효능·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험·검사 비용에 대한 부담이 존재하는 실정을 개선하기 위해 동물용의약품 산업의 진흥 특례에 재정적 지원 등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내용을 실었다.

마지막으로 제34조엔 전북도의 풍부한 바이오자원과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국가적 바이오융복합산업의 진흥을 촉진하고 바이오산업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특례를 포함시켰다.

민선식 도 특별자치도추진단장은 "글로벌 생명경제 핵심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의생명산업 거점화 특례를 통과시켜, 전라북도 신산업의 생태계를 확산하고 연구개발 인프라 강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홍민희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신천지 세 번째 ‘10만 수료식’도 안전·질서 모범으로 성료
  • 상무초밥, 수험생 위한 50% 할인 이벤트 진행
  • “전북에서 권위있고 수준높은 가요제 만들고 싶었다”...제1회 만경강 가요제 총 기획자 변지훈 인터뷰
  • 현성오토텍, AI 즉석식품 조리기 본격 수출 시작…상장 가속화
  • 정읍시의회 제289회 제2차 정례회 개회
  • 부안서 역주행 교통사고…1명 사망·1명 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