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6 17:48 (금)
국내 강제동원 피해자 김영환 옹 “너무 억울하다”···상고장 제출
상태바
국내 강제동원 피해자 김영환 옹 “너무 억울하다”···상고장 제출
  • 임충식 기자
  • 승인 2016.05.25 17: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 옹, "국내 강제동원 피해자도 똑같은 피해자, 국가 보상 받아야"

“너무 억울하다. 나 같은 국내 강제동원 피해자도 똑 같은 강제동원 피해자다”

김영환 옹(93)의 외로운 법적싸움은 끝나지 않았다.

대한민국을 상대로 ‘보상금등지급신청기각결정취소청구소송’을 제기했다가 1·2심에서 패소한 김 옹이 지난 10일 상고장을 제출했다.

김 옹은 “국내 강제동원 피해자라는 이유로 국가가 보상을 못 해준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 이건 명백한 차별이다”며 “끝까지 싸워야 된다고 생각했다”며 상고 이유를 밝혔다.

상고장은 지난 20일 대법원에 접수됐으며, 현재 특별3부에 배당됐다.

김 옹은 지난 1945년 3월 1일, 일제에 의해 강제 징집돼 경기도 시흥에 위치한 육군훈련소로 끌려갔다. 일본이 패망하면서 집(군산시 회현면)으로 돌아갈 때가지 6개월 동안 김 옹은 훈련소에서 지옥 같은 생활을 견뎌야만 했다.

그리고 70년이 지난 2007년 7월, 김 옹은 일제 강제동원 희생자로 결정됐다. 하지만 피해 보상을 받지는 못했다.

정부는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에게 1명당 2000만 원의 위로금을 지급하고, 부상자는 장해 정도를 고려해 2000만 원 이하 범위에서 지급했다. 또 생존자 1명당 의료지원금을 매년 80만원 씩 지급하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규정이 국외동원 피해자에게만 적용됐다는 점이다. 실제로 관련법은 국내 강제동원 희생자에 대한 피해 보상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국내 강제동원자 수가 많지 않고 자료가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적용대상에서 제외한 것이다. 이 때문에 3만 명에 가까운 국내 강제동원 피해자가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김 옹도 마찬가지다.

김 옹은 결국 법원의 문을 두드렸다. 지난해 1월 김 옹는 대한민국을 상대로 ‘보상금등지급 신청기각결정취소청구’소송을 제기했다. 90이 넘은 노인이 변호사도 없이 '나 홀로 소송'에 나선 것이다. 국외가 아닌 국내 강제동원 피해자가 소송을 낸 것은 김 옹이 전국에서 처음이었다.

하지만 1심 재판부는 “보상금을 지급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며 김 옹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다. 그리고 지난달 25일 열린 항소심 선고공판에서도 패소했다. 1심과 같은 이유였다.

김 옹은 “이건 돈을 받고 안 받고의 문제가 아니다”며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나 국내 강제동원 희생자 모두 똑같은 피해자인데 차별을 받는다는 너무 억울하고 분하다”고 말했다.

김 옹은 “이제 국내 강제동원 희생자 중 대부분이 이 세상 사람이 아니다”면서 “비록 내가 원하는 결론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많지만, 마지막이란 심정으로 싸우겠다”고 전했다.

한편,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 진상규명위원회’에 따르면 강제동원 피해자는 국외 19만 3681명, 국내 2만 7582명으로 조사됐다.
임충식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2024 WYTF 전국유소년태권왕대회'서 실버태권도팀 활약
  • 군산 나포중 총동창회 화합 한마당 체육대회 성황
  • 기미잡티레이저 대신 집에서 장희빈미안법으로 얼굴 잡티제거?
  • 이수민, 군산새만금국제마라톤 여자부 풀코스 3연패 도전
  • 대한행정사회, 유사직역 통폐합주장에 반박 성명 발표
  • 맥주집창업 프랜차이즈 '치마이생', 체인점 창업비용 지원 프로모션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