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5-02 22:08 (목)
전라도 천년 ‘전북 몫’ 찾자
상태바
전라도 천년 ‘전북 몫’ 찾자
  • 김병진 기자
  • 승인 2017.05.15 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 14주년 특별기획] 전북도, 지긋지긋 낙후지역 벗어나기 프로젝트 가동

‘전북인은 차별과 소외에 익숙해지고 있다’ 지역정가의 한 원로의 한탄이다.

찬란한 백제의 역사의 중심지였고, 조선시대 전라도를 관할하는 전라감영의 소재지인 전북의 현 주소를 대변한 말이다. 2018년 전라도 정도(定道) 천년을 앞두고 있다. 전북도는 올해부터 범 도민의 염원과 역량을 모아 ‘전북 몫 찾기 프로젝트’를 핵심 정책의제로 설정하고 집중 추진하고 있다. 철저하게 소외받고 있는 전북을 전라도의 중심지로 다시 발돋움 시키겠다는 프로젝트이다. 

전북은 전라도 천년의 역사 대부분에서 중심지의 위상을 이어갔지만, 근현대사 이후 내리막을 계속 걷고 있다. 농민혁명의 발상지이자 산업화 이전까지 국가 경제와 문화를 선도하는 등 역사적 정체성이 확고했던 전북은 대표적인 낙후지역으로 손꼽히고 있다.

산업화 과정에서 수도권과 경부축 중심의 개발이 이어지면서 지역 간 불균형의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고, ‘호남’에서도 전북은 광주전남의 예속화 심화로 서자취급마저 받고 있다. 반세기만에 전라도 천년의 중심지에서 변방의 나락으로 떨어졌다.

중앙부처에서 ‘전북출신’이라는 꼬리표가 승진에 걸림돌이 된다는 푸념마저 나올 지경이다. 전북은 김대중 정부부터 박근혜 정부기간 동안 차관급 이상 고위 공직자 중 전북출신은 단 7%로, 전남의 19%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역대 정권별로 호남차별 속에서 전북은 더 많은 차별을 받았다. 전북출신 인사비율이 가장 높았던 김대중 정부(335명) 시절 전북은 9%(31명)인데 반해 전남·광주는 22%(74명)을 기록하며 2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노무현 정부(368명)에서 전남·광주는 16%(59명)를 차지했지만 전북은 9%(34명)로 대조를 보였고, 이명박 정부(328명)에서도 전남·광주는 12%(37명)이지만 전북은 고작 4%(14명)에 그침으로써 호남 내에서도 전북이 홀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정부에서의 전북출신 차별은 더 심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 전체(238명)에서 서울(61명) 26%과 경북(31명) 13%으로 높은 비율을 기록했지만 전북은 3%(8명)에 불과해 지역편증이 가장 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광주·전남은 ‘전북 몫 찾기’가 달갑지 않은 반응이다. ‘소지역주의, 호남분열의 씨앗’이라며 폄하하는 주장도 나온다. 광주전남 중심의 호남이라는 큰 틀을 계속 유지하기 위한 기득권 세력의 욕심일 뿐이다.

광주·전남 정치권은 각종 선거때마다 ‘약무호남시무국가(若無湖南是無國家)’를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하지만 호남에서 ‘전북’의 자리는 한쪽 귀퉁이가 전부였다. 역사적·정서적 동질성은 경쟁·정치논리에 함몰, ‘순망치한(脣亡齒寒)’의 교훈마저 망각하게 만들었다.

전북도가 ‘독자권역 설정’에 나선 배경은 광주·전남 중심의 호남이라는 틀에서 벗어나기 위한 측면 보다는 전라도의 역량을 키워 전북의 몫을 요구하기 위한 의도이다. 호남의 상생발전을 위한 전북 몫 찾기는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호기를 맞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전북 독자권역 설정에 공감한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표명했다. 전북은 제19대 대선에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득표율로 문재인 대통령을 지지했다. 지긋지긋한 낙후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북도민의 염원이 전북 몫 찾기로 모아진 결과라 할 수 있다.
윤동길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기미잡티레이저 대신 집에서 장희빈미안법으로 얼굴 잡티제거?
  • 군산 나포중 총동창회 화합 한마당 체육대회 성황
  • 대한행정사회, 유사직역 통폐합주장에 반박 성명 발표
  • 이수민, 군산새만금국제마라톤 여자부 풀코스 3연패 도전
  • 만원의 행복! 전북투어버스 타고 누려요
  • 메디트리, 관절 연골엔 MSM 비타민D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