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6 21:28 (금)
여망(輿望)과 야망(野望)
상태바
여망(輿望)과 야망(野望)
  • 전민일보
  • 승인 2021.07.02 09:59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요즈음에는 섭씨 40도를 웃도는 과열상태의 사람들이 자주 눈에 띈다. 언제 어디서든 정치와 종교 이야기로 육담(肉談)과 삿대질을 해대는 풍경이다. 생각이 다르다 하여 큰소리로 윽박지르며 공격해대는 현상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좌뇌와 우뇌가 균형을 이루어 머리가 둥근 것은 원만한 인격을 갖추었다는 의미다. 동글동글한 머리로 태어난 사람이면 누구나 이성과 감성이 조화를 이룬 인격체인 것이다.

국민의 의식 수준이 높아져 시장이나 공사 현장에서 나라를 걱정하며 정치를 논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해결점 없는 필부필부(匹夫匹婦)의 사소한 이야기지만 지도자들에게는 책임감을 느낄 수 있는 자극제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논의가 아닌 논쟁으로 기울면 또 다른 걱정거리다. 둥근 머리의 반쪽만 발달했기 때문이다.

정치 지도자는 나라의 안위를 위한 정책으로 백성의 신임을 받아야 하고, 종교 지도자는 신자의 안정을 위해 정신적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런데 백성이나 신자가 나라와 종교를 걱정하는 상황에 이른 것이다. 절대 왕조 시대의 권력으로 일반 백성을 억누르던 오만을 아직도 답습하고 있는 까닭이다. 해방 이후 국민의 여망(輿望)과 여망(餘望)을 담아내지 못한 일부 권력층의 행태에서 비롯된 것이다.

살벌한 나치에게도 과잉 충성하는 권력지향층이 있듯 국민의 뜻에 반하는 정치권에도 뒤따르는 인물이 있기 마련이다. 그들은 백성의 절실한 현안이 무엇인지 외면하여 지도자의 판단을 흐리게 한다.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대통령이 민주주의의 가치와 워싱턴 대통령의 아름다운 선례를 모를 리 없다. 그런데도 해바라기성 추종자들에 의해 잘못된 판단으로 국민을 흑백논리의 틀에 가두어 놓았다. 한발 물러서서 양쪽의 장단점을 절충하려는 화합의 노력은 ‘회색분자’라는 딱지로 몰아붙인다. 분명한 노선의 흑백논쟁으로 국민을 양분시킨 것이다.

공자는 『공자가어』에서 노나라 애공에게 군주와 백성의 관계를 물과 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무릇 군주는 배요, 백성은 물이니, 물은 배를 띄우기도 하지만 배를 뒤집기도 한다(夫君者舟也, 庶人者水也. 水所以載舟, 亦所以覆舟)’는 이 말은 정치를 잘못하면 백성은 임금을 갈아치운다는 혁명의 가능성을 경고했다.

시대가 바뀐 현재에도 그 가르침은 적용된다. 권력을 맛본 사람들에게 권력의 속성을 잘 파악하라는 경고이기에 예나 지금이나 재주복주(載舟覆舟)는 정치권에 주는 명언으로 회자된다.

조선말기의 혼란과 일제강점기의 억압을 거치면서 우리나라의 권력자들은 기회주의에 빠져들었다. 왕권시대의 절대권력에 익숙한 상황에서 근대적 공화정치의 틀에 맞추다보니 해방 이후의 정치는 가히 논쟁의 불구덩이였다.

프랑스 혁명 이후 왕당파와 혁명파가 대결하여 상대방을 단두대에서 처형하듯 극단적 친일파도 권력의 핵심으로 불러들여 반대파를 제거했다. 그렇게 창출한 권력이다 보니 가해자와 피해자의 대결은 기득권자와 구국세력권의 투쟁으로 변질되어 서로 용납할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수화불상용(水火不相容)의 현상으로 이 당에 흑백논리의 뿌리를 내린 것이다.

꿈에는 여망(輿望)과 야망(野望)이 있다. Ambition을 야망이라 하여 무엇인가를 이루어보겠다는 꿈의 긍정적 면으로 사용한다.

‘Boys be Ambitions’이 대표적인 경우다. 이웃과 더불어 이루고자 하는 꿈이 여망(輿望)이라면 남보다 우뚝 솟으려는 개인적 꿈은 야망(野望)이다. 그래서 야욕(野慾)이라 하지만 여망은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기대하고 바라는 꿈이기에 영어에서도 신뢰(confidence) 기대(expectation)라 한다.

흔히 말하는 야망은 누구나 지녀야 할 장래의 꿈이지만 권력이나 경제의 경우에는 부정적 측면이 많다. 그래서 야망이 클수록 언어가 화려하고 적극적이며 목표 지향적 행동이 대범하다. 그래서 정치인과 경제인의 야망은 정점에 오르기 위한 행보라서 오만과 자만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존경받는 지도자를 동상으로 세워 그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것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서구(西歐)의 광장이나 동남아의 큰길 로터리에 우뚝 서있는 동상은 우리의 시선을 유혹한다.

우리는 이미 세워 놓은 동상마저 철거하는 상황이라서 저들의 동상들이 위대해 보인다. 우리도 케네디 공항과 같이 인명을 공공기관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날이 올 수 있을까?

행여 여당은 여망(輿望)이고 야당은 야망(野望)이라고 억지를 부리지는 않을까. 정치적으로 민감한 현실에서 용어의 선택조차 조심스럽다.

삿대질하지 않고 상대방의 의사를 존중하며 정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선진한국의 내일은 언제일지 아득한 여망(輿望)을 기대해 본다.

강기옥 시인, 국사편찬위 사료조사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1-07-03 22:08:36
국사는 고려는 치국의 도 유교, 수신의 도 불교라고 가르침. 고려시대는 유교 최고대학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구려 태학, 백제 오경박사, 통일신라 국학의 유교교육을 실시함. 유교사관 삼국사기가 정사(正史)이던 나라.
http://blog.daum.net/macmaca/3057

무속은 은.주시대 始原유교의 하늘숭배,산천숭배,조상숭배, 주역(점)등에서 파생된 유교의 지류.

역사적 순서로 보면 황하문명에서 은.주시대의 시원유교[始原유교:공자님 이전 하느님(天)과 여러 神明을 숭배]에서, 한국 고조선의 기자조선으로 始原유교유입, 기자조선(始原유교) 마지막왕 기준의 후손이 삼한건설, 삼한(始原유교)의 영토에서 백제(마한).가야(변한).신라(진한)가 성립됨.

윤진한 2021-07-03 22:07:45
불교는 고구려 소수림왕때 외래종교 형태로 단순 포교되어, 줄곧 정규교육기관도 없이, 주변부 일부 신앙으로 이어지며 유교 밑에서 도교.불교가 혼합되어 이어짐. 단군신화는 고려 후기 중 일연이 국가에서 편찬한 정사인 삼국사기(유교사관)를 모방하여, 개인적으로 불교설화 형식으로 창작한 야사라는게 정설입니다.

유교,공자.은,주시대始原유교때 하느님.조상신숭배.세계사로보면 한나라때 공자님도제사,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성립,수천년전승.한국은殷후손 기자조선 기준왕의 서씨,한씨사용,三韓유교祭天의식. 국사에서 고려는 치국의道유교,수신의道불교.

세계사로 보면 한나라때 동아시아 지역(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가 성립되어 지금까지 전승. 이와 함께 한국 유교도 살펴봄.

한국 국

윤진한 2021-07-03 22:06:35
유교나 공자님을 언급할때는 유교 경전과 정사(正史)에 의거해야 혼란이 없습니다. 야사나 위서, 루머, 소설같은데서 인용하여 유교와 공자님을 판단하면 큰 혼란이 발생합니다. 공자가어는 위서 성격이라, 가급적 인용않는게 좋습니다. 
@공자가어
삼국시대 위(魏)의 왕숙(王肅 195~256)이 편찬한 책. 10권 44편. 공자의 후손 공맹(孔猛)의 집에서 발견한 책 등에서 공자와 제자와의 언행에 관한 기사를 바탕으로 쓴 설화집인데, 당(唐)의 안사고(顔師古) 이래 위작(僞作)이라고 악평을 받았음.

.출처: 공자가어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 2. 15., 조기형, 이상억)

한국은 세계사의 정설로,한나라때 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에 성립된 세계종교 유교국으로 수천년 이어진 나라임. 불교는 고

주요기사
이슈포토
  • '2024 WYTF 전국유소년태권왕대회'서 실버태권도팀 활약
  • 군산 나포중 총동창회 화합 한마당 체육대회 성황
  • 기미잡티레이저 대신 집에서 장희빈미안법으로 얼굴 잡티제거?
  • 이수민, 군산새만금국제마라톤 여자부 풀코스 3연패 도전
  • 대한행정사회, 유사직역 통폐합주장에 반박 성명 발표
  • 맥주집창업 프랜차이즈 '치마이생', 체인점 창업비용 지원 프로모션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