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5-20 21:59 (월)
전북도지사 경선룰은 정했지만 산넘어 산
상태바
전북도지사 경선룰은 정했지만 산넘어 산
  • 박종덕 기자
  • 승인 2014.04.30 19: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착신전환’ 문제 남아 경선내홍 심화 우려

새정치민주연합이 전북도지사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을 ‘100% 여론조사 방식’으로 치르기로 결정했으나 여전히 ‘착신전환’ 문제가 남아 있어 경선내홍이 심화될 우려를 낳고 있다.

송하진 예비후보를 제외한 강봉균 후보와 유성엽 의원은 ‘착신전환 배제’의 기술적 조치를 요구하며 경선불참 또는 제3의 경선룰 도입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30일 새정치연합 공천심사위원회에 따르면 전북도지사 후보를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100% 여론조사를 통해 선출하기로 결정했다.

전북도지사 경선룰로 100% 여론조사 방식이 채택되면서 외형상 강봉균 후보의 주장이 관철된 것으로 보이나 착신전환의 기술적 조치가 선행되지 못하면 경선보이콧 가능성도 엿보인다.

그 동안 강 후보는 100% 여론조사 방식의 경선룰 도입을 주장했고, 유성엽 의원은 100% 공론조사 방식을 요구했다.

송하진 후보는 당초 ‘여론조사 50%, 공론조사 50%’의 경선룰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주장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어떠한 경선룰도 수용할 수 있다’며 조기 경선을 촉구했다.

새정치연합이 전북도지사 경선룰로 100% 여론조사 방식을 결정한 가운데 강 후보와 유 의원은 이날 착신배제의 기술적 선행을 요구하며 조건부적인 수용의사를 내비쳤다.

우선, 유 의원은 “경선시행세칙 제19조(착신금지)에 따라 선관위는 착신금지를 위한 기술적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며 “착신전환 전화를 완벽하게 차단할 기술적 조치에 대한 납득할 만한 설명과 100% 차단할 수 있음을 시연을 통해 입증하는 것이 우선시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의원은 “착신전환 전화를 이용한 돈선거와 조직선거가 민심과 여론을 왜곡할 수 있다는 것이 여론조사 전문가들과 언론의 공통된 지적이다”며 “돈선거와 조직선거를 완전 배제한 제3의 경선방식을 채택할 것을 다시한번 요구한다”고 밝혔다.

그간 100% 여론조사 경선방식을 요구해온 강 후보는 “100% 여론조사 방식은 조직적 동원이 덜하고 그나마 공정한 경선을 답보할 수 있는 방법이다”면서도 “착신전환 배제라는 기술적 보안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수용할 수 없다”고 유 의원과 같은 입장을 피력했다.

강 후보는 “중앙당은 경선세칙 19조에 명시된 착신금지를 원천적으로 약속했다”며 “공심위가 의결한 착신전환 배제 조항이 실효성 있고, 완벽하게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송하진 후보측은 별도의 논평은 발표하지 않았으나 선거 캠프의 핵심관계자는 “그 동안 공정한 경선이면 어떤 방식이든지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해왔고, 중앙당의 입장을 적극 수용해 충실하게 경선에 임할 것이다”고 밝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과 전문가들은 현재의 여론조사 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여부를 가려내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중앙당이 착신전환 배제의 기술적 선행조치를 내놓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강 후보와 유 의원이 경선을 보이콧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전북지역 언론사들의 각종 여론조사에서 송 후보가 줄곧 1위를 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강 후보와 유 의원은 ‘착신전환’의 편법이 작용했다고 주장해왔다”며 “같은 방식의 여론조사가 진행된다면 이들 두 후보가 참여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박종덕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춘향제 12년째 전두지휘...한복의 美, 세계에 알릴것
  • 서울공항 봉인 해제에 일대 부동산 들썩… 최대 수혜단지 ‘판교밸리 제일풍경채’ 눈길
  • 화려한 축제의 이면... 실종된 시민의식
  • 군산 나포중 총동창회 화합 한마당 체육대회 성황
  • 삼대가 함께 떠나고 싶다면, 푸꾸옥
  • 눈에 보이지 않는 학교폭력 ‘사이버 불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