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5-04 10:22 (토)
고창서 조선 분청사기 가마터 발굴
상태바
고창서 조선 분청사기 가마터 발굴
  • 임동갑 기자
  • 승인 2016.09.05 1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온전한 상태 확인”
 

고창군(군수 박우정)에서 추진한 ‘사적 제250호 부안면 수동리 분청사기요지 가마터 발굴조사’에서 전북지방에서는 그 예가 많지 않은 조선시대 전기의 분청사기 가마가 온전한 상태로 확인됐다.

이번 발굴조사는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전주문화유산연구원이 발굴조사를 실시했으며 분청사기 가마와 공방시설(제작공간), 폐기물퇴적구와 더불어 내섬(內贍)명 분청사기가 확인됐으며 2일 오후 3시에 현장설명회를 개최했다.

고창분청사기요지는 1977년 사적으로 지정된 이후 밭 개간 등으로 인해 유적이 점차 훼손 되어가고 있었으나 고창군에서 향후 보존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난 2015년 1차발굴조사를 추진했으며 당시 4기의 가마가 확인된 바 있다.

이번 추가 발굴조사에서는 분청사기가마 2기(5호·6호)와 공방시설 1기, 폐기물퇴적구 6곳 등이 조사됐고 이 조사를 통해 수동리 분청사기 가마의 분포양상과 성격 등이 파악되어 전라북도 도자사에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가마는 일반적으로 회구부(재를 쌓아 놓는 곳), 연소실(불을 때는 곳), 소성실(그릇을 굽는 곳)로 이루어지는데 수동리 분청사기 가마는 이러한 상태가 비교적 잘 남아있다.

가마의 구조는 반지하식으로서 규모는 전체길이 28~31.6m, 경사도 15~16°내외이며 이 중 5호 가마의 경우는 4칸의 연소실이 잘 남아있고 소성실은 7~8칸이 계단식으로 조성됐음을 확인했다.

가마의 바닥면, 벽체, 불턱 등의 보수흔적, 연소실과 초벌칸의 수로 보아 가마는 여러 차례에 걸쳐서 개·보수했고 규모를 축소하거나 확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가마 주변에서는 석재를 사용하여 그릇을 제작한 후 굽기 전에 건조시켰던 공간인 공방시설과 폐기물 퇴적구도 확인됐으며 이처럼 이곳에서는 분청사기 제작과 관련된 일체의 유구들이 조사됐다.

가마에서 출토된 유물은 분청사기와 도지미가 대부분이며 가마 내부 퇴적토와 폐기물퇴적구에서 주로 출토됐다.

분청사기는 대접, 접시 등 생활용기가 중심을 이루며 병, 마상배도 확인된다.

제작기법으로는 인화(그릇의 표면에 문양도장으로 눌러 문양을 나타내는 기법), 조화(그릇 전면에 백토를 바르고 무늬를 음각선으로 꾸민 기법), 귀얄(넓고 굵은 붓으로 그릇에 백토를 바르는 기법) 등이 보이며 문양은 선문, 초화문, 국화문 등이 확인된다.

대접과 접시 안쪽에는 ‘내섬(內贍)’명 인각도 다수 보이고 있어 이곳에서 제작된 그릇은 지방관아에 납품하였음을 추정케 한다.
고창=임동갑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기미잡티레이저 대신 집에서 장희빈미안법으로 얼굴 잡티제거?
  • 군산 나포중 총동창회 화합 한마당 체육대회 성황
  • 대한행정사회, 유사직역 통폐합주장에 반박 성명 발표
  • 이수민, 군산새만금국제마라톤 여자부 풀코스 3연패 도전
  • 전주국제영화제 ‘전주포럼 2024: 생존을 넘어 번영으로’
  • 만원의 행복! 전북투어버스 타고 누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