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년 논의 시작점에서부터 13년여 만에 전북의 여성·가족정책 실현을 위한 통합 플랫폼이 출범했다.
20일 전북도는 실행과 정책연구의 통합 플랫폼인 '전북여성가족재단'의 출범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그간 서울을 비롯한 대다수의 지자체들이 여성·가족 정책연구기구와 실행기구를 일원화해 통합적으로 운영한 것과 달리, 전북은 오랫동안 정책기능은 전북연구원 산하 여성정책연구소에, 실행기능은 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로 이원화되어 운영해왔다.
지난 2010년부터 언론과 여성계, 도의회 등에서 양 기관의 통합논의가 꾸준히 제기돼왔으나 별다른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며 논의는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했다.
그러나 지난 민선 8기 전북도지사직 인수위에서부터 실질적인 논의가 시작되며 출범의 물꼬가 텄으며, 민선 8기 1년여 만에 전북여성가족재단이 탄생했다.
'전북의 변화를 함께하는 여성·가족 정책 허브'라는 새로운 비전을 선포한 재단은 △ 전북특별자치도 위상에 맞는 양성평등 사회 구현 △ 여성가족정책 추진기반 확립을 통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 연구-정책-실행 생태계 완성으로 창의혁신 조직 구축이라는 3대 목표와 15개 세부 실행과제도 발표했다.
재단은 향후 지역 여건에 맞는 여성·가족 정책을 연구·개발하고 양성평등 및 여성 역량 강화, 사회활동 네트워크 거점으로서 다양한 교류협력사업, 경력단절 예방, 일·생활균형 문화확산 지원 사업 등을 맡아 여성과 가족이 행복한 전북을 만드는 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전정희 원장은 "긴 기다림과 오랜 염원이었던 전북여성가족재단이 지난했던 시간의 터널을 지나 출범한다"면서 "여성·가족정책과 여성활동을 지원하는 기능을 확대해 전북특별자치도 위상에 맞는 양성평등 사회 구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관영 지사 역시 "앞으로도 전북여성가족재단이 여성·가족 정책의 허브가 돼 여성의 삶과, 가족의 일상이 활기찰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홍민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