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3-10-03 21:14 (화)
보이스피싱 예방법? 이것만 기억하자
상태바
보이스피싱 예방법? 이것만 기억하자
  • 전민일보
  • 승인 2022.06.14 0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이스피싱은 2006년 처음 등장하여 지금은 ‘보이스피싱’이라는 단어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다.

하지만 보이스피싱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나하고는 상관없는 일이다” “요즘 저런 사기에 누가 당해”라는 생각은 금물이다.

나에게도 내 지인에게도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범죄이며, 수 없이 일어나고 있는 범죄이다.

보이스피싱의 편취방법에는 크게 3가지로 나눌수 있다.

첫째,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이다.

검찰·경찰·금융기관 등을 사칭하여 현금을 인출하게 한 후 현금을 직접 받아가는 보이스피싱이다.

둘째, 계좌이체형 보이스피싱이다.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과 같이 사칭하여 대출금 상환목적등을 이유로 계좌이체토록 하는 보이스피싱이다.

셋째, 메신저피싱형 보이스피싱이다.

지인등을 사칭하여 현금을 이체하게 하거나 불법프로그램등을 깔게 한 후 현금을 이체해가는 보이스피싱이다.

이러한 편취방법을 이용하여 코로나19 지원, 재난지원금, 정부보조금 등 시기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화하여 피해자들을 현혹시킨다.

보이스피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형태로 발전되기 때문에 보이스피싱에 대해 알아야 적절하게 대응할수 있다.

미래에는 앞서 언급한 유형보다 좀 더 진화한 수법의 보이스피싱이 나타날 것이다. 예방을 위해 적어도 이것만은 기억하자.

현금인출, 계좌이체를 요구하면 의심하고 또 의심하자. 자녀등 지인을 사칭하면 본인임을 꼭 확인하자.

적어도 이 두가지 만이라도 숙지하여 나와 내 지인의 경제적 자산을 위협하는 범죄를 예방하였으면 한다.

양옥철 무주경찰서 수사지원팀 경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신천지예수교 전주교회, 지역경제 살리기 동참
  • 전주농협 임인규 조합장 소유(배우자 공동명의)인 축사 불법행위 난무... 논란
  • 전북에도 후면번호판 단속 카메라 도입된다
  • 농어촌공사 전북본부, 행복·꿈 더하기(+) ESG경영 캠페인
  • 유연홍 작가의 세번째 개인전 ‘빛에 스며들다’
  • 정읍시, 구절초 꽃축제 기간 ‘농뚜레일’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