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3-29 17:10 (금)
주군정치(主君政治)
상태바
주군정치(主君政治)
  • 전민일보
  • 승인 2021.09.13 09: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왕호 명칭은 시대에 따라 달랐다. 그동안 군왕(君王), 군주(君主) 주군(主君), 인군(人君), 왕(王), 왕자(王者), 나랏님, 상감마마, 황제 등으로 불렸다.

시대적으로 보면 초기 국가시대 때는 왕(王), 후(侯) 등을 사용했고 신라시대는 고유한 왕호를 사용했는데 1대 혁거세를 거서간(居西干), 2대 남해를 차차웅(次次雄), 그 이후는 이사금(尼斯今), 마립간(麻立干)이란 칭호를 사용했다.

고구려 때에는 왕과 왕중왕이라는 의미의 대왕을 썼던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 시대 때는 창업지주(創業之主)를‘태조’로 수성지군(守成之君)을 ‘종(宗)’으로 하였으며 왕은 스스로 짐(朕)이라 하였다.

조선시대 와서는 왕으로 통칭하면서 종(宗)과 조(祖)으로 나뉘어 사용했는데 태조를 비롯해서 큰 사건이 있었던 왕에게는 조(祖)의 묘호를 사용하였다.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가 대표적 인물이다. 이중 세조, 인조는 반정을 통해서 정권을 잡은 인물이다. 반정을 위해서는 주군(主君)을 옹립하려는 명분과 논리를 개발하고 그 세력을 모았다.

여기에는 정승과 판서들이 줄을 섰고 그 후원세력으로 주요 관직자와 유생들이 참여 하였다. 가담했던 인사들은 주군 옹립의 명분은 있었겠지만 그건 포장에 불과하고 시쳇말로 줄서기 일 수도 있다. 자기가 옹립한 사람이 정권을 잡았을 때 자신의 권력도, 권한도 커지기 때문에 추종하였을 수 있다.


조선 판 주군정치 재현

요즘 대선 정국에 들어선 여야 정치권을 보다보면 조선조의 주군정치(主君政治)와 당파 싸움을 오늘날 다시 보는 듯 하여 우려의 생각이 먼저 든다. 또한 과거 동교동계, 상도동계로 나뉜 계파정치가 데자뷰되는 기분이다.

물론 민주주의는 대의 정치이고 정당정치라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또한 정당정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부류의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한 다양한 국민들의 참여가 전제 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가진 자 위주의 정책보다는 없이 사는 사람들을 위한 정책과 법적 뒷받침도 마련될 것이다.

문제는 대선 후보별로 국회의원들과 정치인들이 참여하다보니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원수가 되고 같은 당 소속임에도 그들 간의 피 튀기는 싸움이 시작되었다.

이런 주군정치는 여야를 막론하고 각 후보별로 세 과시로 변질되는 형국이다.

각당의 대통령선거 후보자를 뽑는 일이기에 정책과 도덕성에 대한 논쟁은 당연하다. 그 논쟁을 통해서 후보자로서 자질과 비젼, 철학을 가늠할 수 있기에 혈투에 버금가는 토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각 후보별로 캠프를 챙기면서 캠프 인사들의 주군에 대한 충성경쟁이 상대후보의 공격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그 충성경쟁이 과열되다보니 사실이 아닌 내용이거나 과장된 내용으로 후보 간 갈등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게 까지 하는 이유는 한편으론 그들의 행동을 일부 공감하면서도 그것은 나중에 자기가 미는 주군이 대통령이 된다면 자신도 한 자리 할 수 있다는 희망이 섞여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주군정치의 폐해를 경계한다. 왜냐하면 이것이 패거리 정치요 자칫 국민 갈라치기로 변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적 신념으로 특정후보자를 지지하는 것을 지적하는 게 아니라 그 행태를 비판하고자 함이다. 우리는 조선조의 붕당정치의 폐해를 여실히 봐왔다. 비뚤어진 주군정치야 말로 시대의 사명인 적폐청산의 대상 아닐까. 대통령후보는 도덕성과 정책이 중요하다.

김철모 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청년 김대중의 정신을 이어가는 한동훈
  • 신천지예수교 전주교회-전북혈액원, 생명나눔업무 협약식
  • 남경호 목사, 개신교 청년 위한 신앙 어록집 ‘영감톡’ 출간
  • 우진미술기행 '빅토르 바자렐리'·'미셸 들라크루아'
  • 옥천문화연구원, 순창군 금과면 일대 ‘지역미래유산답사’
  • 도, ‘JST 공유대학’ 운영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