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19 17:35 (금)
7대 3의 정치학
상태바
7대 3의 정치학
  • 전민일보
  • 승인 2020.05.04 09: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21년 7월 23일, 중국은 50여 명의 소수가 모여 공산당을 창당했다. 그 작은 집단이 거대한 국민당을 쫓아내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한 것은 1949년 10월 1일이다. 기적의 배경은 스탈린을 전범으로 삼은 마오쩌둥이 계급투쟁을 앞세워 노동자 농민을 우대한 정책이다.

스탈린이 7대 3으로 도시와 공업을 중시하고 주민을 강제 이주시키는 등의 철권정책을 교훈삼아 농업중심의 중국에 맞게 역으로 7대 3의 정책을 추진했다. 농촌을 혁명의 기지삼아 부르주아 척결과 계급투쟁을 기반으로 한 평등사회 구축, 부의 균배를 이룬 공산사회를 제시했다.

오랜 세월 착취당하고 억눌려 탈진상태에 빠진 노동자 농민들은 이상향 건설에 열광했고 국민당 관료들의 횡포를 막아주는 공산당에 매료됐다. 미국이 막대한 지원으로 힘을 실어주었는데도 국민당이 타이완으로 쫓겨나기까지는 겨우 28년밖에 지나지 않았다. 7대 3의 비율은 공산당성장의 황금률이었다.

1953년에 스탈린이 사망하자 마오쩌둥은 공(功)7 과(過)3으로 스탈린의 이념적 공헌을 평가하며 그의 정책을 중국에 적용했다. 그 첫 번째 정책이 대약진 운동이었다.

‘7년 안에 영국을, 15년 안에 미국을 따라잡는다’는 부푼 꿈은 3년 만에 30만여 명이 아사(餓死)한 허언에 불과했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마오쩌둥은 1966년부터 사망하기 전인 1976년까지 10년 동안 문화대혁명을 전개했다. 학교를 폐쇄하고, 부르주아적 전통 가치를 파괴하는가 하면 관료들을 숙청하고 식자들을 무자비하게 죽였다.

대약진 운동이 한창이던 1959년 3월에 많은 사람이 죽어간다는 보고를 들은 마오쩌둥은 ‘인민의 절반이 죽게 내버려 둬 나머지 절반이 그들 몫을 먹을 수 있게 하는 게 낫다.’는 망언도 서슴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죽은 지 40년이 지났는데도 자금성 천안문 앞에는 중국의 상징으로 그의 초상화가 걸려 있고 중앙의 마오쩌둥 기념관에는 시신이 안치 돼 있다. 1981년 등소평이 마오쩌둥을 공(功)7 과(過)3으로 평가해 영원한 국부(國父)로 올려 논란을 잠재웠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7대 3의 황금률은 아예 적용되지 않는다. 열이 좋다가 하나가 실으면 그 열은 하나에 묻혀버리는 분명한 색깔 때문이다. 그래서 색깔이 분명한 선명노선만이 정치인 앞에 열려있다.

국민 모두의 존경을 받는 정치인 없다는 것은 모든 정치인이 욕을 먹는 대상이라는 뜻이다. 그것이 정치 혐오의 원인이다. 아웅산 국립묘지에 버어마 국민 모두가 참배하듯 우리도 국립묘지에 색깔을 초월한 존경의 참배가 이루어지는 날은 언제일까. 황금률의 여유로 가슴이 열린 따뜻한 정치의 시대를 기대해 본다.

강기옥 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신천지예수교 전주교회-전북혈액원, 생명나눔업무 협약식
  • '2024 WYTF 전국유소년태권왕대회'서 실버태권도팀 활약
  • 남경호 목사, 개신교 청년 위한 신앙 어록집 ‘영감톡’ 출간
  • 이수민, 군산새만금국제마라톤 여자부 풀코스 3연패 도전
  • ㈜제이케이코스메틱, 글로벌 B2B 플랫폼 알리바바닷컴과 글로벌 진출 협력계약 체결
  • 맥주집창업 프랜차이즈 '치마이생', 체인점 창업비용 지원 프로모션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