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대처로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높여야

2013-06-20     전민일보

전북지역의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률이 전국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생존율이 증가하는 상황이어서 그 심각성을 더 해준다. 심정지 환자는 4분 안에 응급조치가 이뤄지지 못하면 의식불명 및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전문가들은 5분 안에만 응급조치가 이뤄져도 80% 이상이 생존할 수 있다고 한다. 전북지역 심정지 환자 생존률이 낮은 이유는 구급대 도착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내 심정지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지난해 기준으로 49.3명에 달해 전국 평균(44명)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4분 이내 구급대의 현장 도착률도 지난 2011년 기준 13.4%로 전국 평균(18.2%)에 턱 없이 미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구급대 도착시간이 늦어지면서 충분히 살수 있는 심정지 환자 상당수가 생명을 잃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는 셈이다.

수치상으로도 그 문제점은 여실히 드러난다. 도내 심정지 환자 생존률은 지난 2011년 3.1%에서 올해 2.8%로 떨어졌다. 물론 구급대 도착의 장애요인 탓에 지연될 소지는 크다. 하지만 산악지대가 많은 강원도(14.2%)와 도심 교통체증이 심각한 서울과 부산과 비교해도 도내 구급대의 현장 도착률은 낮다는 것은 곱씹어봐야 할 문제이다.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도민의 안전을 위해 묵묵히 맡은바 임무에 최선을 다하는 소방대원과 구급대원의 노고는 누구나 공감하고 고마워하고 있다. 그렇지만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심정지 환자 생존률을 높일 수 있도록 총체적인 점검에 나서야 할 시점이다. 

그렇다고 모든 책임을 구급대원들에게 돌릴 수 없다. 정부가 나서서 심정지 등 응급환자 대응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와 시스템적인 지원을 확대하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을 통해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