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유통점 소상공인 상생필요

2006-10-01     김민수

 대형유통점 소상공인 상생필요

 무차별적인 대형유통점 입점을 막아야 한다는 도내 소상공인들의 목소리가 높다.

 중소유통업 조합에 따르면 도내 중소유통업은 대형 유통점과 홈쇼핑 등의 영향으로 업체당 평균 매출이 35% 이상 감소한 상태다. 재래시장도 점포당 평균 매출이 30.2% 감소했다. 영세도매상 수도 지난 1996년 70만 5916개에서 2004년 62만 5986개로 최근 10년 사이 무려 7만 9930개나 줄었다. 

 반면 대형할인점은 지난 1996년 28개에서 올해는 345개로 급속히 상승했다. 가히 대형유통점의 쓰나미라 할 만하다. 소상공인의 입장에서 보면 현 정부와 지자체가 대형유통점을 무작위로 허가해 주는 상황이다.

 일본은 유통 개방이전에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해 10여 년 전부터 준비했다고 한다. 소상공인들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치밀한 준비와 대책을 마련한 후 대형유통점 입점을 허가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대책도 없이 무책임하게 개방해 지역상권이 몰락하는 등 참담한 현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다른 선진국의 경우에도 대형유통점에 대해 지역의 상권과 상생전략을 위한 공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대형유통점 입점에 대한 가이드라인, 즉 시간규제와 강제휴무, 상품차별 등을 마련해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것들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자본주의 논리가 아무리 이익창출 극대화라고 하지만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부재가 양측의 싸움을 부채질하는 것인 지도 모른다.  소상공인들이 대형유통점에 대해 무조건 반대를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상생할 수 있는 시간과 자생력을 확보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 주길 원하는 것인 지도 모른다. 대형유통점의 규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대형유통점과 소상공인이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전략을 구사하는 일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