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기부문화 활성화 시급

2009-08-31     전민일보

지난해 12월 양식장 증가로 넙치, 전복의 생산과잉 현상이 발생하자, 농림수산식품부는 수급안정 차원에서 즉시 매입에 나섰다. 하지만 마땅히 처리할 방법을 찾지 못해 골치를 앓았다.
 고심 끝에 푸드뱅크를 찾아갔고, 넙치 64톤, 전복 20톤 등 총 84톤 분량을 전국의 푸드뱅크 302개 소를 거쳐 전국에 소재한 1660개 소의 사회복지시설(19만3000명)에 전달했다. 당초 운송비용 등으로 책정됐던 예산 수억 원이 고스란히 남았고, 농림부는 이 예산으로 다른 식품을 구입해 푸드뱅크에 또 한 번 기부했다.
 올 상반기 경기침체로 도내 식품 기부량이 타 시, 도에 비해 턱 없이 낮은 것으로 드러나 식품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포커스 광주 9월호’의 경기침체의 식품 기부문화 활성화에 의하면 올 들어 7월말까지 도내 식품기부액은 3억2700만원으로 나타났다.
 전국 기부액 230억9300만원의 1.4%에 불과한 수준이며, 16개 광역자치단체 중 하위 5번째에 해당된다.
 푸드뱅크 사업의 효과는 단지 잉여식품으로 저소득층을 도와주는 것 이상이다. 식품자원 절약, 환경오염 방지, 사회 연대감 확산 등 부수 효과가 만만치 않다. 때문에 푸드뱅크 사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국가, 기업, 개인 차원의 관심과 인식 전환, 제도적 지원 체계의 확립이 시급하다.
 경기 침체 등으로 많은 업체들이 계획 생산을 통해 재고품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고, 실제 과거에 비해 업체 단위의 시식품, 재고품 등이 적어진 게 기부액 증가율 둔화의 큰 이유 중 하나다.
 따라서 새로운 기탁처가 발굴되지 않는다면 기부량 정체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이다. 우선, 식품기업에만 의존하지 말고 유통기업과 소비자들도 기부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또, 대형마트에서 ‘1+1 상품’을 살 경우, 하나는 고객이 가져가고, 다른 하나는 기부함에 넣는다면 기부 확대뿐 아니라 내수 진작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아예 전담 인력조차 없는 곳도 있다. 이제는 풀뿌리 식품 기부문화 활성화가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