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북으로 돌아온 기업은 단 두곳...수도권 집중화 현상 재확인

2023-01-08     홍민희 기자

지난해 해외에서 국내로 복귀한 이른바 '유턴기업'의 투자계획 및 복귀규모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북으로 돌아온 기업은 수도권으로 돌아온 기업에 비해 턱없이 적은데다 정부의 수도권 규제 완화 기조도 뚜렷해지는 상황인 만큼, 이를 타개할 수 있는 장치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산업부는 최근 발표한 '2022년 해외진출기업 국내복귀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복귀를 확인받은 유턴기업은 총 24개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26개사) 기록을 다시 갈아치운 것으로 이들의 투자계획 규모도 전년 대비 43.6% 증가한 1조 1089억원으로 확인됐다.

기업당 평균 투자계획 금액은 462억 1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55.5% 증가했으며, 투자계획 규모가 500억원 이상인 기업의 비중도 점차 증가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기업 규모별로도 중견·대기업의 비중이 역대 최고인 37.5%를 기록했으며, 반도체와 모바일용 PCB기업과 반도체용 화학제품 기업 등 6곳이 관련 법령에 따라 첨단업종 및 공급망 핵심 기업으로 확인받으며 복귀하는 성과도 거뒀다. 

그러나 복귀기업들의 실적은 지역균형발전 측면에서는 아쉬움만을 남겼다.

국내로 돌아온 24개사 중 절반인 12개사는 경기(8개사)와 충남(4개사) 등 수도권에 정착하며 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공고히 했다. 반면, 전북은 경남과 함께 2개사가 돌아오는 데 그쳤으며, 부산과 울산도 각각 1개사만 정착했다.

전북은 최근 (주)오디텍이 중국의 남경공장을 철수하고 전북 완주과학산단에 76억원의 설비 투자를 결정하며 국내 복귀를 알린 바 있다.

특히 지난해 11월 공장의 신·증축 없이 국내 공장 설비만 늘려도 유턴기업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해외진출기업복귀법' 시행령의 일부 개정령안이 시행된 이후 이뤄진 국내 첫 사례로 꼽히며 많은 관심이 집중조명 되기도 했다.

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국내 복귀를 확인받은 기업은 기존 범위에서 투자 보조금과 고용창출장려금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지자체마다 지원금을 늘리는 방식부터 맞춤형 지원을 내놓는 등 지역으로의 기업 유치를 독려하고 있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는게 전반적인 분위기다.

가장 큰 이유는 정부의 수도권 규제 완화가 인프라도, 인구도 부족한 비수도권의 기업유치 가능성을 더욱 좁게 만들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가뜩이나 경제인 10명 중 9명은 지방이전 계획 자체가 없고, 지방의 사업환경이 해외보다 낫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30%대에 그치는 등 지방 이전을 부정적으로 보는 설문결과가 잇따르는 상황에서 투자 지원비율을 특별히 차등화하지 않고는 이들의 마음을 돌리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올해도 경제활성화, 공급망 안정화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우량 기업의 국내복귀를 확대하기 위해 국내외 유치활동과 기업 지원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홍민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