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11개 시·군 소멸위기…‘더 큰 전북’ 논의 서둘러야

2021-01-07     윤동길 기자

전북지역 행정통합 등 광역화 방안의 대상을 도내 전역으로 확대하는 이른바 ‘더 큰 전북’의 구상과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새만금권·전주완주 등 2개권역의 광역화 논의와 함께 생활·경제권이 동일한 지역을 교통망 등 다양한 형태로 연계, 광역화 하자는 구상이다.

지난 5일 송하진 도지사는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전북 광역화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전주완주 통합 이상으로 범위를 확대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송 지사는 이날 완주·무주·진안·장수, 전주·군산·익산, 동부권 등을 예시로 제시하면서 광역화의 확장성을 강조했다. 

■ 소멸위기 전북, 뭉쳐야 산다 
남원시와 김제시의 인구를 추월하면서 인구가 늘어나던 완주군마저 인구소멸위험지역에 신규로 진입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지난해 5월 기준 지역별 인구소멸지수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주·군산·익산 등 3개 시군을 제외한 나머지 11개 시군이 소멸될 위기에 처했다.

임실군은 도내 인구소멸위험지역 11곳 중 유일하게 고위험지역(0.2미만)에 포함되면서 가장 소멸될 위험성이 높은 지역이 됐다. 지난해 말 기준 전북 인구는 180만4104명으로 1년 전인 2019년에 비해 1만4813명이나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중 180만 붕괴에 내몰렸다.

가장 큰 문제는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앞지른 ‘데드크로스’ 현상이 3년째 이어지고 있다는 점과 사회적 요인의 감소가 자연적 요인을 넘어서고 있다. 도내 젊은층 인구의 유출심화 속에서 고령화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내 14개 시군 중 인구 10만을 넘는 지역은 전주와 익산, 군산, 정읍 등 4곳에 불과하다. 순창과 임실, 진안, 무주, 장수 등은 3만명도 넘지 못하고 있다. 전주시 한 개동 보다 인구가 적은 현실이다. 현 상태로서 자연적인 인구증가와 외부유입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게 사실이다.

따라서 지역 내 광역화 방안의 필요성은 미래전북의 생존을 위해 사회적 공감대가 이미 형성됐다고 볼 수 있다. 

■ 지역내 생활광역화 논의 필요 
전북도가 구상 중인 초광역화 방안은 광역교통망이 핵심이다. 새만금권과 경북, 충청, 전남광주 등과 연계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전북 내부에서도 교통망·생활권·경제권 등을 토대로 광역화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행정통합형이 아닌 생활광역화 방안이다.

새만금권의 배후도시로 전주군산익산을 연계시킨다면 거대 새만금권 메가시티 구축도 가능하다. 낙후된 전북에서도 더 낙후된 동부권 6개 시군의 생활·경제권의 특성을 감안한 생활·기능형 광역화 방안 논의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새만금권·전주완주권·동부권 등 각 권역별 광역화의 발전비전과 목표, 분야별 발전전략, 대형프로젝트, 민간협력 활성화 방안 논의를 위한 공동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해당 지자체는 실무적인 TF팀을 꾸리고, 공신력 있는 전북 외부의 제3기관을 통한 연구용역 보고서를 토대로 지역 내에서 재논의에 나서야 한다는 것.

송하진 지사는 “전주·군산·익산은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처럼 움직여지고 있는 만큼 생활광역화 작업도 진지하게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전북의 미래를 걱정하며 많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끝없는 논의를 거쳐서 광역화 작업을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윤동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