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혁신도시 전입인구 중 87%가 ‘전북도민’

수도권에서 이동은 고작 7.7%에 그쳐 빨대현상 심각… 균형발전 취지 무색 대부분 주택구입 목적 이주로 분석

2020-01-16     윤동길 기자

전북 혁신도시 인구가 목표인구의 93%(2018년 기준)까지 도달했으나 전입인구 중 수도권 이동은 고작 7.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에 주민등록을 둔 인구 10명 중 8.7명 가량이 전북도민으로 당초 취지와 달리 지역내 빨대현상의 심각성이 여실히 드러났다.

16일 국토연구원은 전북과 광주전남 등 2개 혁신도시의 인구구조와 유입 등의 사례를 비교 분석한 ‘신도시형 혁신도시 유입가구의 특성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북 혁신도시는 2018년 기준 목표인구 2만9000명의 92.9%인 2만6951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107.3%)과 울산(101.1%)에 이어 10개 혁신도시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전북 혁신도시 12개 공공기관의 이주인원은 총 5239명이며, 이중 가족동반이주 2616명으로 49.4%로 전국 평균 37.2% 보다 훨씬 높았다.

독신·미혼 이주인원 1059명을 포함하면 70.1%(전국 62.0%)로 매우 높았다. 반면, 나홀로 이주인원은 1059명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전북 혁신도시로 유입된 주민등록 인구가 2만6951명인 점을 감안할 때, 공공기관 이주인원의 19.44%에 불과한 실정이다.

국토연구원이 대표전입자의 지역별 이동건수를 분석한 결과, 광주전남 혁신도시는 수도권 이동자 21.9%, 타시도 8.2% 등 타 지역 전입비율이 30.1%에 달했지만 전북의 경우 수도권 이동자는 7.7%에 그쳤다.

절대다수인 86.8%가 전북에서 이동했으며, 타시도 비율도 5.5%로 매우 적었다. 양 지역의 인구유입의 또 다른 특징은 이동사유이다. 광주전남은 30·40대를 중심으로 직업목적으로 이주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전북 혁신도시는 전 연령대에서 직업 보다는 주택목적의 혁신도시로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젊은층의 경우 광주전남 혁신도시는 직업문제로 이주한 비율이 주택과 가족을 모두합친 것 보다 높았으나, 전북은 정반대의 상황을 보이고 있다.

통상 시도 내 이동자들은 주택목적으로 전입하고 있으며, 시도간 전입 사유로 직업과 가족, 주택 등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국, 전북 혁신도시 거주 또는 주민등록인구 주택목적으로 이주한 셈이고, 10명 중 8.7명 가량이 전북도민이라는 점이다.

정부청사가 위치한 대전 둔산신도시의 사례에서 전북 혁신도시의 개선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1985년 개발된 대전 둔산신도시는 원도심의 인구가 줄어들고 구도심과 신도시의 격차가 크게 벌여서 지역격차의 심화 문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연구원 정유선 연구원은 “전북 혁신도시는 주택 목적의 이주가 다수로 나타나는 등 전북 전입자가 대부분인 것으로 분석됐다”면서 “대학교육기와 자녀성년기로 갈수록 인구이동률은 적어지기 때문에 혁신도시에 추가 유입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밝혔다.
윤동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