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권 균형발전, 스스로 충분히 노력했는가

2020-01-08     전민일보

새만금, 국가식품클러스터, 민간육종단지, 혁신도시, 전기차, 자율주행 상용차, 그린수소, 신재생에너지, 탄소섬유 등 전북의 신성장동력 대부분이 서부권 지역을 무대로 추진된다. 이 때문인지 전주를 중심으로 인구대부분이 서부권에 쏠려 있다.

인구와 예산규모, 기업체 수, 종사자 수, 공공기관 등 모든 수치에서 서부권과 동부권은 비교대상이 될 수 없다. 산악지대로 둘러싸인 지리적 약점 탓에 대단위 산업단지조성도 쉽지 않고, 물류 등 교통 접근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는 곳이 동부권이다.

그래서 동부권 6개 시군은 도내 대표적인 낙후 지역으로 손꼽힌다. 전북이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도 낙후된 지역인데, 그 전북안에서도 낙후된 동부권은 그야말로 개발이 멈춰버린 곳이라는 표현이 맞을 정도이다.

전북의 인구구조가 안고 있는 가장 심각한 고령화의 속도가 가파르게 진행, 이미 20%를 넘어서는 등 인구유출은 가속화되고 있다. 십수년째 동부권 균형발전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며, 동부권특별회계 등 나름대로 신경을 쓰고 있지만, 가시적 성과도출이 요원하다.

전북의 동부권 6개 시군과 같은 지역은 전국 시도마다 떠안고 있는 문제로 행정의 시각에서 일정부분 만성화된 경향도 엿보인다. 하지만 해당 시군과 지역민들은 불만이 팽배할 수밖에 없다.

집안을 위해 형이 잘돼야 한다며 동생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았던 어려운 시절도 있었다. 특정지역 중심의 개발이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동부권지역의 개발은 후순위에 밀려온 사례도 적지 않다.

같은 전북이다. 전북형 균형발전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는 수도권공화국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지만, 시각을 안으로 돌려서 지역내 불균형 문제에 대해서는 인색하다. 동부권 주민들의 인식에 있어 서부권 중심의 개발정책이 불만이 아닐 수 없다.

지리적 특성상 대단위 개발이 힘들고, 최첨단 시설유치도 어렵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극복 가능한 문제이다. 정부는 농정틀 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논농사 중심의 농업은 경쟁력을 상실했고, 6차산업이 급부상했다.

동부권 지역의 특성을 살린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되, 과감하면서 획기적으로 밀어줘야 한다. 과거처럼 나눠주기 형식에서 탈피해 선택과 집중식을 통한 동부권지역의 발전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동부권 6개 시군 스스로가 패배주의와 안일함에서 벗어나야 한다. 스스로 변화를 모색하지 않는다면 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 전주시 효자4동 인구에도 못미치는 지역의 현주소에 대한 냉철한 반성과 미래발전 전략을 스스로 마련, 전북도와 논의해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