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초등학교 10곳 중 4곳 이상이 전교생 60명 이하

2019-01-10     이재봉 기자

도내 초등학교 10곳 중 4곳 이상이 전교생 60명 이하 초미니 학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전교생 60명’이 학교가 기능할 수 있는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 이보다 작으면 학교 문을 닫거나 분교로 운영하길 권한다.

10일 한국교육개발원이 분석한 ‘인구절벽 시대 교육정책의 방향 탐색’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으로 전북지역은 전체 초등학교 43%(183곳)가 전교생 60명 이하 초미니 학교다.
 
전북보다 전교생 60명 이하 학교가 많은 지역은 전남 49.1%(240곳), 강원 47.6%(181곳), 경북 44.2%(225곳)으로 조사됐다.
 
초미니 학교마저 문을 닫으면 해당 지역은 ‘초등학교 없는 동네’가 된다. 이는 젊은 부모를 이주시키려 해도 학교가 없다면 무용지물인 셈이다. 
 
문제는 초미니학교가 앞으로 더 늘어날 수 있어 교육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통계청의 연령별 인구추계에 따르면 2017년에 전체 인구의 11.7% 이던 학령인구가 오는 2065년에는 7.9%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교육부가 1982년부터 추진한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으로 2015년까지 33년동안 5,053개교를 통폐합했다. 그동안 학교 통폐합 정책에 대해 찬반이 대립해 왔다.
 
통폐합을 찬성하는 쪽에서는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소규모 학교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지만 반대하는 쪽에서는 단순히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상 학교가 있는 지역이 전반적으로 위축돼 지역사회의 유지가 어렵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입장이다.
 
교육 전문가들은 통폐합 정책을 재검토하면서 지역의 상황에 맞는 지역교육공동체 구축과 함께 소규모 학교 운영 모델을 새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도내 농촌지역의 한 교사는 “학생들의 이동 거리를 고려할 때 통폐합만이 능사가 아니다”면서 “학교를 유치원, 보육시설 등 지역사회 수요와 연계해 복합 교육시설로 만들거나 저학년과 고학년을 분리해 새로운 교육 모델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