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보다 더 위험에 노출된 전북경제

2018-07-30     전민일보

연일 푹푹 찌는 듯한 가마솥 무더위가 지속되면서 가축은 물론 사람들조차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열사병 환자와 사망자가 속출하고, 가축들은 수십 여만 리가 죽어나가고 있다. 하지만 전북은 폭염보다 더 심각한 위기가 차츰차츰 좁혀오고 있다. 바로 경제이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로 불거진 전북경제의 위기감은 어느덧 1년을 훌쩍 넘겼다.

이후 한국GM 군산공장이 당초 우려대로 문을 닫았고, 그 여파는 전북경제 전반에 빠른 속도로 투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설상가상, 미·중 무역분쟁이 본격화되면서 전북지역 대중국 수출기업들의 간접적인 피해 발생도 불가피한 상황에 놓였다. 여기에 정부의 주52시간 노동시간 시행과 내년 최저임금 인상여파는 가득이나 어려운 전북경제에 스트레이트 펀치를 날리고 있는 실정이다.

전북지역 실물경기는 이미 최악의 지표로 이어지고 있다. 더 큰 문제는 현재의 위기가 단기간에 해소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는 점이다.

한국은행 전북본부는 ‘전북지역 최근 성장세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북은 타 지역과 달리 총생산이 장기 추세수준을 하회하고 있는 가운데 성장률이 0%대로 둔화되고 있다.

국내 총생산이 2%대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 비교할 때, 전북성장은 멈추고 있다는 의미이다.

국세청의 ‘2018 국세통계 조기공개’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지역 총 사업자는 24만1237개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속은 비어가고 덩치만 커진 상황이다. 폐업현황도 역대 최고수준이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와 실물경제악화로 전북지역 경제사정이 악화된 상황에서 사업자수 증가는 전북경제에 잠재적 부담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전북경제는 신흥국경제상황, 국내 건설경기, 지역 주택가격 등 다양한 요인들이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별산업의 업황을 고려한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진단했다. 또한 군산발 경제악재에 과도하게 치우진 정책집중 현상을 균형화 시켜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전북경제 위기는 심각한 수준이지만, 워낙 경제수준이 열악하다보니 도민들의 체감지수는 일종의 만성화된 상황이다.

하지만 작금의 상황은 외환위기 수준과 비슷하다 할 정도로 실물경제 전반이 최악의 위기에 내몰렸다.

전북도만의 힘으로는 한계가 분명히 있다. 전북 정치권이 정부와 여당에 전북경제 위기탈출의 해법 마련을 조속히 마련해줄 것을 하나의 목소리로 요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