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 껍데기 대신 알맹이만 남겨야

2014-01-22     전민일보

전북도가 난립된 도내 지역축제에 대해 칼을 빼들었다. 지역별 대표 축제를 평가해 3년 연속으로 최하위 등급을 받은 축제는 시·군 대표축제 지원 대상에서 배제시키기로 한 것이다.

아울러 지역별로 주제가 유사하거나 내용이 부실한 축제는 통폐합 내지 재조정 권고를 내림으로써, 지역 축제의 낭비와 선심성 논란을 해소키로 했다.

전북도가 이처럼 강력한 대책을 내놓게 된 것은 아무래도 지역축제가 ‘알맹이’는 빠진 ‘껍데기’만 남은 대표적 전시성 행사로 전락했다는 비판에 직면해서인 듯 하다. 도내 시·군이 해마다 개최하는 대표 축제들이 경제적 파급효과 면에서 축제간 편차가 크고, 당초 기대보다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전북도가 최근 전주대 산업협력단에 의뢰해 내놓은 도내 14개 시·군 대표축제 용역 보고서를 보면, 일부는 축제로서 그 역할에 충실하고 기대했던 효과도 창출하고 있는 반면, 왜 개최하는지조차 의문이 들 정도의 축제도 있었다.

 

진안 마이문화제의 경우 어디 가서 한 자치단체의 대표축제라고 명함을 내밀기에도 부끄러울 정도다.

지난해 축제를 통해 2만2800여명의 관광객 유치와 8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냈는데 그쳤다. 경제적으로는 되레 2012년보다 뒷걸음쳤다. 여기에 정읍의 황토현동학농민혁명축제, 임실 통합축제, 완주 와일드푸드 축제 등도 경제적 파급효과가 100억원을 밑돌았다.

김제 지평선축제나 남원 춘향제, 무주 반딧불축제 등 몇몇 축제를 제외하고는 상당수의 지역축제가 ‘그들만의 축제’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화합과 경제적 파급효과 창출이란 당초 목적 달성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셈이다.

보여주기식이나 단체장의 치적쌓기에 부역했던 지역축제가 지역발전과 주민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것은 이젠 하나의 패러다임이 됐다. 그런 점에서 전북도가 강도 높은 지역축제 구조조정에 나선 것은 다소 늦은 감은 있으나, 환영할만한 일이다.

시·군도 이번 조치가 상급 기관으로서 전북도가 실력행사를 벌인다고 곡해하지 말고, 지역축제가 진정한 지역발전의 한 정책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