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3-12-01 01:02 (금)
국립무형유산원, 전승공예품 은행 소장품 홍보 제작 보급
상태바
국립무형유산원, 전승공예품 은행 소장품 홍보 제작 보급
  • 김영무 기자
  • 승인 2023.02.07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안형순)이 무형문화재 전승자가 제작한 작품을 구입해 무료로 대여하는 ‘전승공예품은행’의 국내·외 이용 활성화를 위해 은행이 소장한 공예품들을 소개하는 홍보책자를 제작해 박물관과 미술관을 비롯 재외공관 및 해외문화원 등에 배포한다.

홍보책자에는 전승공예품은행의 전체 소장품 5500여점 가운데 현재 대여가 가능한 2200여점의 전승공예품을 ▲피모공예(갓, 망건 등) ▲섬유공예(매듭, 자수, 누비 등) ▲금속공예(조각, 장도 등) ▲도자·옥·석공예(옹기, 옥 등) ▲목칠공예(나전, 궁시 등) ▲지·단청·불교공예(단청, 불화 등) ▲악기공예(북, 가야금 등) 등 7개 분야로 나눠 소개하고 있다. 

망건은 상투를 튼 사람이 머리에 두르는 그물처럼 생긴 물건이며 누비는 두 겹의 천 사이에 솜을 넣고 줄이 죽죽 지게 박는 바느질 또는 그렇게 만든 물건을 뜻한다. 한편, 전승공예품은행의 전체 소장품 가운데 현재 3300여점이 국·내외 65개 기관에서 대여·활용 중이다.

전승공예품을 활용하거나 관리가 가능한 공간을 갖춘 기관이면 무료로 대여를 신청할 수 있으며 대여를 하게 되면 포장운송료와 보험비만 부담하면 된다. 대여 기간은 최대 1년 신청 가능하며 대여 연장을 원할 경우 만료일 이전에 계약을 갱신하면 횟수 제한 없이 1년 단위로 연장이 가능하다. 

전승공예품은행에 관한 자세한 사항 및 대여 가능한 작품은 무형문화재 전승지원통합플랫폼(support.nihc.go.kr) ‘공예품은행/대여’ 또는 국립무형유산원 전승지원과(063-280-1457)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국립무형유산원 관계자는 "많은 기관들이 이번 홍보책자를 참고해 전승공예품을 대여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대여 공예품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돼 우리 전통공예의 우수성이 널리 알려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김영무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학생들과 함께 달리는 군산부설초 김신철 교장 ‘눈길’
  • 신천지 세 번째 ‘10만 수료식’도 안전·질서 모범으로 성료
  • 고공행진하는 금값에 안전자산 금 주목
  • 상무초밥, 수험생 위한 50% 할인 이벤트 진행
  • 샤이니 키 & NCT DREAM 런쥔이 찾은 대둔산... 탐방객 42만명 기록
  • “전북에서 권위있고 수준높은 가요제 만들고 싶었다”...제1회 만경강 가요제 총 기획자 변지훈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