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3-29 17:10 (금)
비규제지역 트리플 역세권 아파트 'KTX신경주역 더 메트로 줌파크' 분양
상태바
비규제지역 트리플 역세권 아파트 'KTX신경주역 더 메트로 줌파크' 분양
  • 길문정 기자
  • 승인 2021.12.06 14: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TX신경주역 더 메트로 줌파크' 투시도
'KTX신경주역 더 메트로 줌파크' 투시도

비규제지역인 경북 경주의 트리플 역세권에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아파트가 선보인다. 대창기업이 경주시 KTX신경주역세권 신도시 B1블록에서 분양 예정인 'KTX신경주역 더 메트로 줌파크'다.

이 아파트는 전체 549가구 규모로 59㎡ 88가구, 84㎡A 353가구, 84㎡B 108가구로 구성됐다. 전 가구가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중소형 평형으로만 설계됐다는 점에서 수요자는 물론 투자자의 관심을 끈다.

KTX신경주역 더 메트로 줌파크는 우선 비규제지역인 경주에 들어서는 만큼 정부의 각종 규제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일반적으로 비규제지역에서는 청약통장 기간이 6개월 이상이면 1순위 청약 자격이 주어진다. 또한 주택유무나 재당첨제한기간에 상관없이 만 19세 이상의 해당지역 거주자(경주시)와 기타 지역 거주자(대구광역시, 경북)라면 누구나 청약이 가능하다. 세금이나 대출 규제도 상대적으로 덜하다.

경부선ㆍ중앙선ㆍ동해남부선이 교차하는 트리플 역세권 아파트라는 점도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KTX신경주역에서 경부선 KTX, SRT노선을 이용하면 서울까지 약 2시간, 동대구는 18분, 울산까진 11분 정도면 갈 수 있다.

여기에다 내년 완전 개통 예정인 동해남부선을 이용할 경우 포항에서 신경주까지 19분(예정), 신경주에서 울산(태화강)까지 18분(예정) 정도면 갈 수 있으며 중앙선을 타면 서울 청량리역까지 2시간 안에 갈 수 있다.

기존 경주역 폐역에 따른 반사이익도 기대할 수 있다. 1918년 개통 이후 경주의 관문이자 지역 교통과 물류의 중심 역할을 해왔던 경주역이 12월 문을 닫을 예정이다. 경주역 폐역을 앞두고 지금까지 경주역이 맡았던 업무와 역할은 KTX신경주역으로 이전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지역의 중심 생활권도 KTX신경주역으로 이동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렇게 되면 경주 부동산시장의 중심축도 기존 경주역 중심의 구도심에서 KTX신경주역 주변 신도심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합리적인 분양가도 눈길을 끈다. KTX신경주역 더 메트로 줌파크가 들어서는 KTX신경주역세권 신도시는 공공택지로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다. 분양가 상한제는 택지비와 건축비를 기준으로 새 아파트 분양가에 상한선을 둬 무분별한 고분양가 책정을 막아 합리적인 가격으로 아파트를 분양하는 제도다.

KTX신경주역세권 신도시에 들어서는 만큼 KTX신경주역세권 개발에 따른 수혜도 누릴 수 있다. KTX신경주역세권 신도시는 부지 면적이 53만3834㎡에 달하는 미니 복합신도시다. 6300여가구에 1만6000여명이 입주할 예정이다. 미니 신도시로 조성되는 만큼 주거, 상업, 공원, 공공, 교육시설 등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될 예정이다.

주변 생활 인프라도 편리하게 갖춰진다. 우선 단지 인근에 대형 근린 공원과 상업ㆍ업무시설이 조성된다. 여기에 단지 옆에 초등학교가 예정돼 있어 교육여건도 좋다.

또한 지상에는 차가 없는 단지로 조성돼 주거환경이 쾌적하고 건강한 아파트로 꾸며지는 안전한 단지가 될 전망이다. 그리고 지하에 조성되는 주차장은 가구당 주차대수가 1.9대에 달한다.

내부는 경주에서 보기 힘든 4베이 혁신 평면을 적용해 채광과 통풍을 강화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청년 김대중의 정신을 이어가는 한동훈
  • 신천지예수교 전주교회-전북혈액원, 생명나눔업무 협약식
  • 남경호 목사, 개신교 청년 위한 신앙 어록집 ‘영감톡’ 출간
  • 우진미술기행 '빅토르 바자렐리'·'미셸 들라크루아'
  • 옥천문화연구원, 순창군 금과면 일대 ‘지역미래유산답사’
  • 도, ‘JST 공유대학’ 운영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