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3-29 23:09 (금)
혼불기념사업회.최명희문학관, 11일 작고문학인세미나 개최
상태바
혼불기념사업회.최명희문학관, 11일 작고문학인세미나 개최
  • 이재봉 기자
  • 승인 2020.12.10 16: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명희.최창학 소설가-박찬 시인 조명

혼불기념사업회와 최명희문학관이 오는 11일오후 4시 전북지역 작고 문학인을 추념하는 세미나를 연다. 매년 최명희(1947∼1998) 소설가의 작고일에 맞춰 진행하는 이 세미나는 연구자들에게 전북 출신 작고문학인의 너르고 깊은 문학 세계를 듣고, 전북 문학의 힘을 다시 느껴보는 시간이다. 

올해 주목한 문학인은 최명희 소설가와 익산 출신 최창학(1941∼2020) 소설가, 정읍 출신 박찬(1948∼2007) 시인이다. 

전주가 고향인 최명희 소설가는 전주와 남원을 배경으로 쓴 장편 '혼불'을 비롯해 전주천과 소리꾼을 소재로 한 장편 '제망매가', 경기전을 공간으로 삼은 단편 '만종' 등 전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여러 편 남겼다. 

최창학 소설가는 1968년 '창작과비평'에 발표한 중편 '槍(창)'을 시작으로 100여 편의 작품을 발표했다. 

서울예술대학 문창과 교수로 재직하며 혼불문학상 수상자인 권정현·박정윤 소설가를 비롯해 김미월·조경란·천운영·편혜영·하성란 등의 문학인을 가르쳤다. 

1983년 월간 '시문학'에 '상리마을에 내리는 안개는'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한 박찬 시인은 언론사 기자로 오래 근무하면서 시집 '수도곶 이야기', '그리운 잠', '화염길', '먼지 속 이슬', 기행집 '우는 낙타의 푸른 눈썹을 보았는가' 등을 냈다. 

세 작가에 대한 연구는 문학박사 서철원·엄숙희·문신 씨가 맡았다. 

서철원(소설가·전주대 출강) 박사는 ‘혼불의 소환 콤플렉스 양상 연구’를 주제로 소설에 투영된 소환 콤플렉스와 그 상반된 지점에 있는 소멸의 서사적 상관성에 주목한다.

과거를 떠올리는 일련의 행위를 소환 콤플렉스라고 명명할 때,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시간과 공간은 텍스트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다.

서 박사의 연구는 '혼불' 속 각 인물의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추동하는 기억과 망각의 실존적 정합성을 밝히는 데 의의가 있으며, 작품·작가에 새로운 관념과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엄숙희(전북대 국문과 교수) 박사는 ‘최창학 소설에 나타난 불안과 증상으로서의 광기’를 주제로 작가가 소설에서 불안의 정동을 다루는 방식에 주목한다.

불안의 문학에서 불안한 주체와 광기의 인물은 상투적인 설정이기 쉽지만, 최창학 소설 속 불안과 광기는 다른 차원으로 형상화된다. 그의 소설에서 불안한 주체들은 불안한 사회의 무기력한 주체들이 아니라 불안을 조장하는 사회에 저항하는 주체들로 나타난다.

엄 박사는 최창학의 소설 속 불안한 사회의 불안한 주체들을 집중 조명하고, 작가가 불안한 주체들과 광기의 인물들을 형상화한 의미를 규명한다. 

문신(우석대 문창과 교수) 박사는 ‘박찬 시의 정신주의적 민중의식’을 주제로 시인이 민중의 삶을 어떻게 포착하고 있는지를 살피고, 그것을 정신(관념)적으로 어떻게 형상화해 내는지를 확인한다.

박찬의 시는 민중의식을 지향하는 정신주의로 평가된다. 그는 ‘수도곶’으로 대변되는 자기 고향의 공간적 특성을 민중의 현장으로 삼아 1980년대의 삶을 그려내고 있다.

민중의 삶을 그려내는 방식에서 그의 작품은 정신주의에 기울어진 특징이 있지만, 관념적 세계로 나가지 않은 것은 ‘수도곶’으로 대변되는 민중의식을 놓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 박사는 시인의 시적 지향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의 시 세계를 정신주의적 민중의식으로 평한다. 

제20회 혼불문학제를 겸한 이 날 세미나의 좌장은 우석대 문창과 송준호 교수가, 토론은 문학박사 권은영·박태건 씨가 맡아 연구에 힘을 보탠다. 

최명희문학관 최기우 관장은 “작고문학인세미나는 학술적으로 작가와 작품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의미도 있지만, 그보다 최명희·최창학·박찬 세 작가의 이름을 다시 부르며 삶과 작품을 기억하는 의미가 크다.”며 “우리의 연구가 작고문학인을 한 번 더 떠올리는 기회가 되고, 더 많은 학자의 본격적인 학술연구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혼불기념사업회와 최명희문학관은 2007년부터 신석정(1907∼1974), 박동화(1911∼1978), 유기수(1924∼2007), 최형(1928∼2015), 이정환(1930∼1984), 하근찬(1931~2007), 박봉우(1934∼1990), 정렬(1938∼1995), 박정만(1946∼1988), 문정(1961∼2013), 서권(1961∼2009) 등 삶과 글이 진실했던 작고 문학인을 기념하는 연구를 계속해왔다.

이날 세미나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연구자들만 모여 진행하고, 이후 결과물을 공유한다. 문의 063-284-0570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청년 김대중의 정신을 이어가는 한동훈
  • 신천지예수교 전주교회-전북혈액원, 생명나눔업무 협약식
  • 남경호 목사, 개신교 청년 위한 신앙 어록집 ‘영감톡’ 출간
  • 우진미술기행 '빅토르 바자렐리'·'미셸 들라크루아'
  • 옥천문화연구원, 순창군 금과면 일대 ‘지역미래유산답사’
  • 도, ‘JST 공유대학’ 운영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