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3-29 01:40 (금)
“오래된 건축자산 보존·재활용 필요”
상태바
“오래된 건축자산 보존·재활용 필요”
  • 김병진 기자
  • 승인 2017.10.23 10: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연구원, 50년 이상 1241동 중 방치된 45동 공개..완주 삼례문화예술촌 등 벤치마킹 체계적 보존 한목청

#1.완주 삼례문화예술촌의 현대 미술관과 책 공방. 겉에는 농협 마크가 선명한 허름한 시멘트 건물이고, 안에는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나무기둥들로 꾸며졌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만경평야에서 생산된 쌀을 수탈하기 위해 건립된 양곡창고다. 설립된 지 100여 년이 지나 그 기능을 잃고 도심경관을 저해하는 폐창고로 전락한 삼례 양곡 창고가 그동안의 아픔과 슬픔을 털어내고 복합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각종 전시회와 체험프로그램들이 운영되면서 개관 3년만에 한 해 3만5000여명이 찾는 지역 관광명소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2.서울시 은평구 구산동에 있는 ‘도서관마을’. 도서관은 은평구가 부지에 있던 3채의 연립주택을 활용해 만들었다. 3채의 연립주택은 생김새도 제각각이고 규모가 작아 큰 공간을 얻기에는 부족했지만 이 건물들을 부수는 대신 마을의 일부분이었던 건물들을 보존하면서 도서관의 일부가 됐다.
연립주택의 외양은 물론이고 골목을 도서관으로 재탄생시켰으며, 주택 안의 방들이 그대로 도서관의 한 공간이 됐다.

최근 ‘도시재생’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도내 오래된 건축자산도 무조건 없애버리기 보단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해야 한단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은 최근 ‘공공유휴건축자산의 보전 및 활용방안 연구보고서’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3월말 기준 도내 건축승인 후 50년 이상 지난 공공건축물은 1241동(부속건축물 제외, 문화재 포함)으로 집계됐다.

이 중 지자체 소유는 전체의 68%가 넘는 847동을 차지했다. 시·군별로는 군산시(250동)가 가장 많았고, 전주시 175동, 익산시 98동, 정읍시 78동 순이었다. 시기별로는 광복이후 건축물이 66.1%를 차지하고,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건물로 276동(32.6%)이나 됐다.

이 과정에서 연구원은 지자체 소유 건축물 중 주거·상업용도를 제외한 교육복지·상업·행정 용도의 건축물 84동을 추렸다. 여기에 이미 철거됐거나 문화재로 지정된 건물(39동)까지 제외시킬 경우 45동은 아직까지 활용방안을 검토만 하고 있거나,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못한 상황이다.

대표적으론 ▲전주한계경노당(사용승인 1957년) ▲익산함라농협 창고(1955년) ▲군산개야도어린이집(1962년) ▲부안 주산경로당(1967년) 등이다. 또 ▲전주 완산동 충무시설(1974-2004) ▲상관 정수장(1985-2012) 등도 정부 공모사업 추진 방침만 세워진 채 수년째 방치되고 있는 상태다. 반면, 서울시 등은 석유비축기지를 문화복합공간으로 꾸며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아직도 묻혀 있는 건축자산이 더 많을 수도 있단 점이다. 연구원도 “도내 건축자산에 대한 기초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문헌·뉴스자료 등을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며 한계를 인정했다.

이와 관련 전북연구원 장성화 연구위원은 “건축자산은 지역의 역사자원으로서 보전뿐만 아니라 주민의 복지증진, 문화 인프라 구축을 위한 거점 시설로 활용돼야 하고, 충분한 기획과 전문성이 확보돼야 한다”며 “특히 건축자산 보존·활용사업이 자칫 일반적인 건축물 리모델링 및 문화시설 조성사업으로 인식·추진될 경우, 유사한 기능을 가진 시설이 난립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병진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청년 김대중의 정신을 이어가는 한동훈
  • 신천지예수교 전주교회-전북혈액원, 생명나눔업무 협약식
  • 남경호 목사, 개신교 청년 위한 신앙 어록집 ‘영감톡’ 출간
  • 우진미술기행 '빅토르 바자렐리'·'미셸 들라크루아'
  • '여유 슬림컷' 판매량 급증! 남성 건강 시장에서 돌풍
  • 옥천문화연구원, 순창군 금과면 일대 ‘지역미래유산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