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4 22:58 (수)
차세대 농도전북을 이끌 주역이 없는 현주소
상태바
차세대 농도전북을 이끌 주역이 없는 현주소
  • 전민일보
  • 승인 2016.06.28 10: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도 전북의 청년농업인의 씨가 말라가고 있다. 전북 전체적인 청년층 인구유출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청년들에게 농촌을 무턱대고 지키라고 강요할 수 없는 노릇이다. 전북의 고령화 속도는 전국적으로 빠른데, 농촌지역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지 오래다.

매년 청년인구 유출의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일자리와 교육문제로 전북의 청년들이 고향을 등지고 있다. 저출산·고령화 문제와 맞물리면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되고 있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성장잠재력을 떨어뜨려 가뜩이나 열악한 지역경제 체력을 더욱 악화시킬 우려를 낳는다. 전북지역 연령별 농가구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세 미만 농업인은 1990년 48호가 있었으나 2000년 들어와 현재까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이상 농업인은 1990년 3280호에서 2000년 665호, 2010년 197호, 2014년 115호로 줄었으며 30대 농업인은 1990년 2만0563호에서 전체의 10.9%를 차지했다. 2014년 956호(0.9%)로 급감, 20~30대의 농업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농가(10만4037개)의 1%에 그쳤다.

농업인 절대다수가 60세 이상의 고령이다. 이처럼 전북지역 농업인력 구조가 경쟁력이 취약한 고령자 중심으로 변하면서 농도 전북의 명맥마저 끊어질까 우려스럽다.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만으로 청년농업인 육성이 현실화되는데 한계가 분명하게 있다.

도심에서도 청년들이 탈전북화 현상을 보이는데, 농촌지역은 그야말로 청년층을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현실을 냉정하게 분석하고 중장기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향후 20년 이내에 50대 농업인조차 구경하기 힘든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전북지역 농촌 고령화 속도를 늦추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유지하기 위해선 단계별 청년 농업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청년 농업인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이들의 경제적 여건 불안과 농업소득 통한 생계 유지가 중요해 생활적 측면을 고려한 정책도 필요하다.

일본의 농업후계자센터나 신규취농상담센터, 청년농업자육성센터 등의 사례를 검토해 도입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청년농업인 고갈사태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전북도가 추진 중인 삼락농정의 뿌리가 흔들리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지자체 차원에서 노력해서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은 아니지만, 농도전북의 위상에 걸맞게 전북에서부터 청년농업인 육성과 활성화를 위한 대안이 발굴돼야 한다. 미래를 담보하지 못한다면 농도전북은 옛말에 그칠 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신천지예수교 전주교회-전북혈액원, 생명나눔업무 협약식
  • '2024 WYTF 전국유소년태권왕대회'서 실버태권도팀 활약
  • 이수민, 군산새만금국제마라톤 여자부 풀코스 3연패 도전
  • 기미잡티레이저 대신 집에서 장희빈미안법으로 얼굴 잡티제거?
  • 대한행정사회, 유사직역 통폐합주장에 반박 성명 발표
  • 군산 나포중 총동창회 화합 한마당 체육대회 성황